이곳에서는 docbook 형식의 xml 파일을 통해 문서를 작성하고, 이를 html 과 pdf 형식으로 변환하고 있습니다.
gimp docs svn : http://svn.gnome.org/svn/gimp-help-2/trunk/
html 예제 : http://docs.gimp.org/ko
pdf 예제 : http://docs.gimp.org/ko.pdf
gimp docs ko.xml : http://gimp.kr/pub/help/ko.xml
하지만 pdf 의 경우 cjk 를 제대로 지원하지 못해, 근래에 들어서야 꼼수로 odf 로 변환후 OOo 등에서 pdf 로 변환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. 이에 따라 영문판 (http://docs.gimp.org/en.pdf) 과는 다소 다른 부분이 있고, 군데군데 내용이나 그림이 누락되는 문제가 발생됩니다.
그래서 직접 pdf 변환을 시도해보려는데 잘 안됩니다.
우선 xml 파일은 성공적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. html 으로의 변환도 성공적으로 하고 있습니다.
하지만 pdf 는 영 안되고, odf 는 되긴 하는데,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누락되는 부분이 생깁니다. 인덱스도 안 나오고.. 영문판은 이쁘게 나오는데 ;;;
pdf 변환 : 우분투 7.10 에서 했고, db2latex 를 사용하는 것 같았습니다. cjk.sty 와 cjkutf-8.sty 가 없다길래 관련 패키지를 전부 설치했는데, 다음과 같은 에러를 내며 되지 않습니다.
/bin/mkdir -p pdf
dblatex -p ./stylesheets/plainprint.xsl xml/ko.xml -o pdf/ko.pdf
Build the listings...
XSLT stylesheets DocBook - LaTeX 2e (0.2.5-1)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Processing Revision History
No "ko" localization of "sect2" exists; using "en".
No "ko" localization of "sect2" exists; using "en".
No "ko" localization of "sect2" exists; using "en".
No "ko" localization of "sect2" exists; using "en".
No "ko" localization of "sect2" exists; using "en".
No "ko" localization of "sect2" exists; using "en".
Error: no ID for constraint linkend: bibliography-online-wkpd-lzw.
*** Error: xref to nonexistent id: bibliography-online-wkpd-lzw
Error: no ID for constraint linkend: bibliography-online-wkpd-packbits.
*** Error: xref to nonexistent id: bibliography-online-wkpd-packbits
No "ko" localization of "sect3" exists; using "en".
No "ko" localization of "sect1" exists; using "en".
No "ko" localization of "sect3" exists; using "en".
No "ko" localization of "sect1" exists; using "en".
No "ko" localization of "sect1" exists; using "en".
Processing Bibliography
Output Mode: all
Processing Bibliography - Bibliodiv
Processing Bibliography - Bibliodiv
Image '../images/using/ko/png-dialog.png' not found
Image '../images/toolbox/ko/toolbox-pencil.png' not found
Build ko.pdf
This is pdfTeXk, Version 3.141592-1.40.3 (Web2C 7.5.6)
%&-line parsing enabled.
entering extended mode
pdflatex failed
ko_tmp.tex:71: Undefined control sequence \maketitle.
ko_tmp.tex:71: leading text: \maketitle
ko_tmp.tex:71: Argument of [email protected] has an extra }.
ko_tmp.tex:71: leading text: \maketitle
ko_tmp.tex:71: Paragraph ended before [email protected] was complete.
ko_tmp.tex:71: leading text: \maketitle
ko_tmp.tex:71: Undefined control sequence \maketitle.
ko_tmp.tex:71: leading text: \maketitle
ko_tmp.tex:71: Undefined control sequence \maketitle.
ko_tmp.tex:71: leading text: \maketitle
Error: pdflatex compilation failed
make[1]: *** [pdf/ko.pdf] 오류 1
make[1]: Leaving directory `/media/sdb1/Mr.Dust/Gimp/cygwin/home/Dust/gimp-help-2'
make: *** [pdf-recursive] 오류 1
그림이 없다거나 페이지가 없다라는 부분은 그러려니 하겠는데, html 로는 잘되니 문제가 아닌듯합니다.
gimp docs 의 구조를 봐주시면 정말 감사하겠고, 그것이 아니더라도 완성된 xml 파일은 있으니, 이것 외에 무엇이 더 필요하고 어떻게 해야할지 조언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지금보니 dblatex -p ./stylesheets/plainprint.xsl xml/ko.xml -o pdf/ko.pdf
여기가 포인트군요.
그러면 이 plainprint.xsl 과 ko.xml 을 가지고, 이곳에 있는 한국어 지원을 보면서 하면 될까요?